Github 원격 저장소 만들기

|

Github 원격 저장소 만들기

  • 우선 github에 회원가입 후 로그인, 다음으로 new repository로 github 저장소를 만듦
    • 만들 때 오픈 소스 목적이라면 public, 그렇지 않다면 private며 모두 무료
    • 다음으로 create repository를 누름
    • 주소는 https로 시작하게 하며, 그 옆에 나타나는게 해당 저장소의 주소가 됨
  • 저장소를 만들때는 원격저장소를 만들고
      1. 원격 저장소를 만들고 그걸 복제해서 로컬 저장소를 만든 후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
    • 2.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 해온 내용을 원격 저장소로 작업 내용을 업로드
  • 수업에선 이미 로컬저장소에서 작업한 내용을 원격저장소로 업로드 하는 것에 대해 다룸
  • mkdir gitfth로 폴더를 만들고, 해당 폴더로 이동하여 git init .로 초기화
  • 초기화 다음에 vim f1.txt로 파일 작성 후 내용을 a로 하여 저장
  • 만들어진 파일을 git add f1.txt, git commit -m 1로 첫 번째 커밋을 수행
  •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ID/gitfth.git 수행
    • 현재 로컬 저장소에 origin으로 명칭될 https~ 주소를 갖는 원격 저장소에 연결시킴
  • git remote를 치면 origin이라는 원격 저장소가 생성되었으며, git remote -v로 상세 주소를 확인 할 수 있음
  • git은 여러개의 원격 저장소를 로컬 저장소로 저장 할 수 있음
  • git remote add friend https://github.com/ID/gitfth.git를 하고 git remote -v를 하면 friend 원격 저장소가 생긴 것도 확인 가능
    • 관습적으로 origin은 로컬 저장소와 연결되어있는, 주로 동기화 되는 원격 저장소로 지칭함 (branch의 master와 같은 맥락)
  • git remote remove friend로 필요 없는 저장소 지움
  • git push -u origin master
    •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로 작업내용을 보내는 것을 push라고 함
    • 로컬 저장소 작업내용을 origin 원격저장소의 master 브랜치로 보낸다는 의미
    • -u는 한 번만 쓰면 다음부터는 git push로 쉽게 업로드 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
    • 처음에 치면 user name(깃허브 홈페이지 아이디)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됨
  • 깃헙 홈페이지에 가 보면 작업 내용이 원격저장소로 업로드 된 것을 볼 수 있음
  • vim f1.txt에 b 내용을 추가한 후 git commit -am 2로 커밋
  • git push로 작업내용을 업로드
  • 깃헙 홈페이지에 변경된 내용이 반영된 것을 확인 가능
  • mkdir ../gitfth2(새로운 작업환경)
  • 해당 폴더에서 git clone git remote add friend https://github.com/ID/gitfth.git 하여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지역저장소로 불러옴
  • 이 상태에서 git remote -v해 보면 원격저장소와 지역저장소가 연결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